SUNEX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지반기술

질문답변

휨 강성이 크면 부재력에 크게 나옵니다. 2006-08-11

수직 벽체의 휨 강성이 크면 변위는 감소하지만 부재력은 크게 나옵니다. 부담하는 하중은 강성에 비례하여 강성이 크면 큰 하중을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변위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면 휨 강성이 약한 부재로 설계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변위를 줄이기 위하여 휨 강성을 키우면 부재력이 커 지므로 또 그 부재력에 견디는 부재를 선정하다보면 더 큰 부재를 쓰게 됩니다.



예를 들어 지반이 약한데 H-pile 로 설계하고자 하였으나 부재력이 커서 강성을 키우고 또 강성이 큼에 따라 더 큰 부재를 선정하고 하는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H-pile 로는 도저히 안되어 다이어 프렘월(지하연속벽)으로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찬수



>> 최진오 님이 쓰신 내용 <<

:

: 안녕하십니까?

:

: 업무에 수고 많으십니다.

:

: 다름이 아니오라, 현장 기술지원 업무 중, 가시설 단면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최적 단면을 결정하고자 합니다.

:

: 그런데, 휨강성이 강한 흙막이 벽체와 약한 벽체에 대한 해석 결과,

:

: 휨강성이 약한 부재는 부재력이 만족되었으나, 휨강성이 강한 부재는 휨응력에서 NG가 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

: 위 결과를 두고 보면, 굴착 단면의 안정을 위해서는 변위가 조금 발생하더라도, 휨강성이 약한 부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과를 보입니다.

:

: 원래 계획대로 휨강성이 강한 경우에서도 부재력이 항복하는데...휨강성이 약한 부재를 사용하면 O.K가 되니깐..이걸 사용하라고 설계하는 것이 타당한지요?

:

: 모멘트 분배법의 원리이기 때문에, 휨강성이 강한 부재가 큰 부재력을 담당한다는 것은 이해하겠지만...

:

: 실제 상황에서도 이를 적용해도 문제가 없는지요?

:

: 해석 입력 자료와 부재력 검토 결과를 첨부합니다.

:

: 바쁘시겠지만,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

: 02-2005-9199

Comment

작성자 :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