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EX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지반기술

질문답변

SUNEX IN-PUT 입력시 수평반력계수 값에 대한 질문입니다.(범양 2006-577) 2006-09-04



>> 이 정 호 님이 쓰신 내용 <<

:

: Q) 범영건설(주) 이정호 차장입니다.

: 저희는 시공을 하는 회사입니다. SUNEX 를 사용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요... 매뉴얼에 내용이 없어서 자료를 부탁드립니다.

:

: 질문1) SUNEX IN PUT DATA 입력시 수평반력계수를 넣어야 하는데... 수평반력계수는 일반적으로 말뚝에서 사용하는 계수로 알고있습니다.. 매뉴얼 참고자료에 여러 가지 식들이 나와있는것을 보았습니다. 그러한 값중...SUNEX 해석에 필요한 값은 Hukuoka식과 Soletanche의 표에서 찾아서 대입한다고 하는데...두가지 식중 어느것을 사용해야하는지요? 그리고 수평반력계수가 해석값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프로그램상에서....궁금해서요 ^^*)

=> Hukuoka 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한가지 식만 가지고 하는 것보다 그 식에서 나온값과 다른 표 등에있는 값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하고 있습니다.

수평반력계수는 sunex 기본식(메뉴얼 1-2)에서 ks 에 해당합니다. 수평반력계수를 변경해 가면서 태스트 해 본결과 지반반력계수가 우리가 통상 사용하는 값보다 아주 작지 않으면(예를 들어 500 보다 작지 않으면) 결과에 큰 차이는 없은 것 같습니다.





: 질문2) 스트러트와 앵커에서 SUNEX 해석을 하면 하부로 갈수록 축력이 크게 나오는데요..실제 현장에서 하부로 굴착하면...풍화토, 풍화암을 포함한 암층이 나오는데요..실제로 계측해보면 설계 TON수 보다 상당히 적게 나오는 것 같은데...그이유가 무엇때문인가요??

=> 설계시 입력한 지반특성(내부마찰각, 점착력) 보다 실제 지반이 더 좋아서 토압이 작게 작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지반과 흙막이 벽의 마찰각이 설계값보다 더 큰경우, 또 설계수압보다 감소된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굴착후 지보공을 설치하고 다음단계를 굴착하는데 그 기간이 짧기 때문에 주동토압만큼의 토압이 채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 질문3) SUNEX를 해석해 보면 변위가 하부로 갈수록..증가하다가 다시 줄어드는데...현장에서 계측해보면 처음 굴착할당시에는 변위가 크게 나타나다가...하부로 내려가며 갈수록 변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는데...그 이유가 어떤것 때문인가요??

=> 질문 2에 대한 답변과 마찬가지로 지반이 설계시 가정한 지반보다 내부 마찰각이나 점착력이 커서 토압이 작게 작용하는 등의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하부로 갈 수록 지반의 내부 마찰각이나 점착력을 크게 입력을 해서 sunex 를 실행해 보시면 참고가 될 것입니다.



장찬수



: 답변을 팩스나 메일로 부탁을 드립니다. 참고할 만한 책이나, 자료를 알려주시거나 보내주시면 대단히 고맙겠습니다.

:

: 범영건설(주) 이정호 차장 TEL:02) 557-8873~4 FAX:02) 557-8895

:

: Serial No. : 2006-577 User : 범영건설주식회사

: E-MAIL : iagopal@lycos.co.kr

:

Comment

작성자 :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