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EX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지반기술

질문답변

자립식 검토 2025-04-05

===================== 원글 내용 ====================

(주)백산이앤티건설 2024-1029

첨부한 파일과 같이 데이터를 작성하여 자립식 검토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응력이나 근입장 검토에서는 문제되는 부분이 없지만, 부재검토 후 엑셀 시트로 계산서를 출력했을 때, 변위에 대한 검토는 과다 변위로 나타나 NG가 나옵니다.

자립식 검토를 진행할 때 변위에 대한 내용은 어떻게 검토하는지, 또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자립식 검토 시에도 PECK 토압에 대한 스텝이 추가되어야 할지도 궁금합니다.


=> 답변

설계기준에 관한 문제라 제가 답변할 입장이 아닙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1) 자립식 검토를 진행할 때 변위에 대한 내용은 어떻게 검토하는지, 또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자립식도 변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자립식의 경우 주변에 시설물이 없거나 상당히 먼 거리에 있을 때는 sunex 에 있는 인접시설물 안전검토 또는 유한요소법으로 그 시설물에 미치는 상세한 검토를 하여 문제가 없는지 체크 할 수도 있다고 봅니다.


2) 또한 자립식 검토 시에도 PECK 토압에 대한 스텝이 추가되어야 할지도 궁금합니다.

PECK 토압은 본래 버팀대가 있는 흙막이벽의 버팀대 축력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자립식의 경우에도 적용이 되어야 하는지 의문이 있습니다. 설계기준 문제라 제가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 (주)백산이앤티건설 2025-04-07 10:30:23 추천수 : 0
    자세한 답변과 박사님의 소중한 견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답변해주신 내용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어 추가적으로 의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1번 답변에서 인접 시설물의 변위 검토에 대해서 말씀해주신걸로 이해했는데, 자립식 벽체의 수평변위에 대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검토하면 좋을까요?
    자립식 벽체로 모델링하면 수평변위가 과도하게 나타나서 벽체의 수평변위 검토는 어떤 식으로 진행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박사님의 견해를 여쭙고 싶습니다.
  • 장찬수 2025-04-07 15:08:40 추천수 : 0
    자립식이라고 모델링을 특별히 하는것은 없는것 같습니다.일반적인 모델링에서 지보공이 없습니다.따라서 변워도 크게 나오는 편입니다

Comment

작성자 : 비밀번호 :